맨위로가기

서울 사직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직단은 토지신과 곡식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으로, 조선 시대에 건립되었다. 태조 이성계는 경복궁 동쪽에 종묘를, 서쪽에 사직단을 배치하여 새로운 수도의 상징으로 삼았다. 사직단은 2중의 담장 안에 있으며, 사단(社壇)은 동쪽에, 직단(稷壇)은 서쪽에 위치한다. 임진왜란으로 훼손되었으나 이후 복원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공원으로 변경되면서 면적이 축소되었다. 현재는 문화재청이 관리하며, 2022년 전사청 권역의 복원이 완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시대 유적 - 보신각
    보신각은 조선 시대 한양 도성의 문을 여닫는 시각을 알리던 종루에서 유래하여 고종이 이름을 내린 종각으로, 현재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복원되어 매년 제야의 종 타종 행사가 열리는 장소이며 한국 전통 범종의 의미를 공유한다.
  • 조선시대 유적 - 창경궁
    창경궁은 조선 시대 궁궐로 세종이 수강궁으로 건립한 후 성종 대에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 후 광해군 대에 재건, 이후 화재와 이괄의 난 등으로 소실과 재건을 반복하며 조선 왕조 주요 사건의 배경이 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창경원으로 격하되어 훼손되었으나 1983년부터 복원되어 현재 대한민국의 사적 제123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 종로구의 문화유산 - 종묘
    종묘는 조선 왕조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사당으로, 왕실의 권위와 유교적 이념을 반영한 건축물이며,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사적 제125호이다.
  • 서울 종로구의 문화유산 - 흥인지문
    흥인지문은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동쪽 대문으로, 1398년에 처음 건립되어 1869년에 중건되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1호이자 도성 8개 성문 중 유일하게 옹성을 갖추고 있고, 풍수지리적 이유로 이름 지어졌으며, 현재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다.
서울 사직단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2014년 사직단 사진
2014년 사직단
종류사적
지정 번호121
지정일1963년 1월 21일
면적5,973.6m²
위치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 1-28
상세 정보
종교한국 유교
건립1395년
좌표37.5757° N, 126.9677° E

2. 입지와 구조

사직단은 두 겹의 담장 안에 둘러싸여 있으며, 담장의 사방에는 홍살문을 세웠다. 토지의 신에게 제사지내는 사단(社壇)은 동쪽에, 곡식의 신에게 제사지내는 직단(稷壇)은 서쪽에 배치했으며, 단의 형태는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천원지방(天圓地方)에 의해 네모난 방형(方形)으로 만들었다. 단의 둘레에는 3층의 돌계단을 사방으로 둘렀으며, 단 위에는 각 방위에 따라 황색, 청색, 백색, 적색, 흑색 등 다섯 가지 빛깔의 흙을 덮었다.

처음 조성 시 단 주변에 동ㆍ서ㆍ북쪽 산기슭을 따라 담장을 두르고 그 안에 신실(神室)을 두었는데, 임진왜란 때 신실 등은 모두 소실되었다. 선조 말년에야 수복되고 역대에 걸쳐 수리가 계속되었다. 신문(神門)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맞배집으로 원래의 위치에서 약간 뒤로 물러나 있다.

문화재 보호시설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인의 직접 출입이나 왕래는 할 수 없고 대신 사직단 홍살문이나 돌담 너머를 통해서 제단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조선 시대에 서울이 건립되었을 때, 사직단의 위치는 예법 서적인 《주례》에 의해 규정되었고,[1][4] 1395년에 창건되었다.[4] 왕궁인 경복궁, 종묘와 함께 사직단은 새로운 수도의 기본적인 상징이었다.[4]

3. 역사

태조 이성계가 한양(현재의 서울)에 수도를 정했을 때, 주례의 "좌묘우사" 원칙에 따라 경복궁 동쪽에 종묘를, 서쪽에 사직단을 설치하였다. 사직단은 1395년에 창건되었다.[4]

사직단은 2중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으며, 울타리 사방에는 홍살문이 설치되어 있다. 토지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사단은 동쪽에, 곡식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직단은 서쪽에 배치되었으며, 단의 형태는 "천원지방"설에 기초하여 방형으로 만들어졌다. 단 주변은 3단 돌계단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단 위는 각 방위에 따라 황, 청, 백, 적, 흑의 5색 흙으로 덮였다.

일제강점기에 도시 계획으로 공원으로 바뀌면서 면적이 축소되었다. 이후 1980년대 말 사직단 정비 사업을 통해 단과 주변 일부가 복원되었다. 현재 문화재 보호 시설로 지정되어 일반인 출입은 제한되지만, 홍살문과 돌담 너머로 제단 모습을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이 사각형 제단에서 특정 의례가 부활되었다.

3. 1. 조선 전기

조지 클레이턴 포크가 1884년에 경희궁 북편 언덕에서 촬영한 사직단의 모습은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조지 클레이턴 포크가 1884년에 경희궁 북편 언덕에서 촬영한 사직단의 모습.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태조는 조선 건국 당시 좌묘우사의 원칙에 따라 경복궁 동쪽에 종묘를, 서쪽에 사직단을 배치하였다. 이 둘은 모두 국가의 가장 중요한 대사(大祀)이지만 이론적으로는 사직의 위상이 더 높았다.[7]

태조 2년과 3년에 축조가 논의되어 4년(1395년)에 공사가 시작되었다. 고려의 사직은 사방 5장 규모였던데 비해 조선의 사직은 2장 5척으로 지었는데, 이는 중국에 대한 제후국의 위상에 따라 규모를 축소한 것이다. 단을 둘러싼 낮은 담인 유(壝)는 처음에는 짓지 않았다. 첫 번째 사직제는 1405년 태종에 의해 거행되었다.[7]

사직단의 제실, 단, 유, 담장은 모두 태종이 지었다. 유의 크기는 송나라의 제도를 따랐다. 각 지방의 사직단 역시 태종대에 지어져 모두 대사(大祀)로 지정되었다. 이후 성종때까지 사소한 증축 및 변형을 거친 모습은 《국조오례의》 〈사직단〉에 묘사되어 있다.[7]

3. 2. 조선 중기

조지 클레이턴 포크가 1884년에 경희궁 북편 언덕에서 촬영한 사직단의 모습은 숲으로 둘러싸여 있었다.[7]

태종은 사직단의 제실, 단, 유, 담장을 만들었다. 유의 크기는 송나라의 제도를 따랐다. 각 지방의 사직단 역시 태종대에 지어져 모두 대사(大祀)로 지정되었다. 이후 성종때까지 사직단은 증축 및 변형을 거쳤으며, 그 모습은 《국조오례의》 〈사직단〉에 묘사되어 있다.[7]

선조때까지 사직단의 모든 구조는 잘 유지되어 오다가 임진왜란으로 단만 남기고 모두 사라졌다. 사직의 신위는 개성의 목청전에 묻어두었다가 평양으로 옮겨졌고, 이후 세자가 황해도강원도 등으로 옮겼다. 환도 후에는 심의겸의 집에 종묘의 신위와 함께 보관되었다. 훼손된 사직단은 선조 41년(1608년) 종묘 중건 이전에 복원된 것으로 추정된다.[7]

인조 대에는 병자호란으로 종묘사직의 신주를 강화도로 피난보냈다가 강화가 함락된 후 남한산성을 거쳐 잠시 창경궁 시민당에 봉안하기도 하였다.[7]

3. 3. 조선 후기

조지 클레이턴 포크가 1884년에 경희궁 북편 언덕에서 촬영한 사직단의 모습은 숲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임진왜란으로 사직단은 단만 남기고 모두 사라졌다. 사직의 신위는 개성의 목청전에 묻어두었다가 평양으로 옮기고, 이후 세자가 황해도강원도 등으로 옮겼으며 환도 후에는 심의겸의 집에 종묘의 신위와 함께 두었다. 훼손된 사직단은 선조 41년(1608년) 종묘 중건 이전에 복원된 것으로 추정한다.[7]

인조 대에 병자호란으로 종묘사직의 신주는 강화도로 피난보냈다가 강화가 함락된 후 남한산성을 거쳐 잠시 창경궁 시민당에 봉안되기도 하였다.[7]

정조 대에는 사직제 체제나 근거가 제대로 정비되어 있지 않음을 보고 이를 정비하였다. 그 일환으로 《사직서의궤》가 편찬되었으며 〈사직서전도〉와 〈단유도설〉도 제작되었다.[7]

고종대한제국을 선포하며 황제국의 위상에 맞게 국가제례도 격상하였다. 환구단도 그 일환으로 지어졌고, 사직단에서 섬기던 국사(國社)와 국직(國稷)도 태사(太社)와 태직(太稷)으로 격상하였다.[7]

3. 4. 일제강점기

1911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사직제는 폐지되었고, 1921년에는 사직단을 헐고 공원을 조성하는 계획이 경성부에 의해 수립되었다.[7] 그러나 고적 보존을 근거로 조선총독부가 반대하여 사직단은 보존하되 그 주변의 고목을 활용하여 공원을 설치하는 방안으로 변경되었다.[7] 1922년에 경희궁 황학정을 사직단 북쪽으로 이전하는 등 공원을 조성하고 1923년에 공원이 개장되었다.[7] 이 공원에는 아동정원, 테니스 코트, 변소 등이 설치되었다.[7]

3. 5. 해방 이후

해방 이후 사직단에는 아동을 위한 시설이 들어섰다. 소년수용소가 지어졌다가 이후 아동보호소로 개편되었고, 1958년에는 시립영아원으로 변경되었다. 보육병원이 지어졌다가 이후 시립아동병원으로 개편되었으며, 이 건물은 현재 서울특별시립어린이도서관으로 사용 중이다.[7]

종로구서대문구를 잇는 사직터널사직로가 개통되며 사직문이 이전되었다. 이후 사직공원은 사직동효자동 등 인근 주민들의 휴식처가 되었다. 또 부지 측면에는 서울 최초의 공공도서관인 종로도서관(구 경성도서관)이 들어섰다. 1980년대 말에는 사직단 정비 사업이 추진되어 조선시대 제단과 그 주변이 일부 복원되었다.[7]

4. 시설 관리

사직단의 관리는 종전 서울특별시 종로구청에서 담당하였으나, 종묘와 사직은 조선왕조의 존립 기반인 상징적 시설물인 점을 감안하여 2012년 1월 1일부터 문화재청장이 직접 관리하고 있다.[8] 2010년대 들어 문화재청은 사직단 복원 계획을 세우고 종로도서관과 어린이도서관을 허물고 조선시대 사직단 부지 전체를 다시 확보하려 했으나, 주민들과 뜻있는 시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그러나 사직 시민공원은 폐쇄되었고, 현재 조선시대 제단과 부속물들을 만드는 공사 및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2022년 전사청 권역의 복원이 완료되었다.

5. 사진

참조

[1] 백과사전 사직단 (社稷壇)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6-18
[2] 웹사이트 Treasures 177 http://www.ocp.go.kr[...]
[3] 웹사이트 Historic Sites 121 http://www.ocp.go.kr[...]
[4] 웹사이트 Sajikdan Altar and Its History https://royal.cha.go[...]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24-06-18
[5] 간행물 사적재지정목록 문교부장관 1963-01-21
[6]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사적) 지정명칭 변경 및 지정·해제 고시 문화재청장 2011-07-28
[7] 서적 사직단 원지형 복원정비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20
[8]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사적·보물) 관리단체 변경 고시 문화재청 2011-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